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 [자취방 가죽공예] 혼자하는 가죽공예 - 혼자 만든것들 주로 가죽 구매하는 곳을 소개하는 것을 먼저 하려 했으나 조만간 가죽을 사러 갈 것 같아서 그때 올릴려고 한다. 그래서 이번에는 자취방에서 꾸민 작은 공방과 소소하게 만들어 본 것들을 소개 할려고 한다. 우선은 아래의 사진은 내 작업 공간인데, 10평 미만의 작은 방이다보니까 마음껏 꾸미기가 어려웠다. 그래서 작은 책상 하나와 공구 박스를 하나를 추가해서 작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. 우측 상단에 있는 가죽은 가장 최근에 산 것인데 큰 맘먹고 비싼 가죽을 살때 주로 이용하는 곳이다. 신설동에 위치한 꾸에로샵(https://blog.naver.com/cueroshop)인데, 원래는 회사 근처에 있다가 신설동으로 이전했다. 마침 4월 30일까지 봄 세일을 하고 있다고 하니 관심있는 분들은 빠르게 구매하.. 2020. 3. 8. [Study] 아파트 호재 분석(2020-03-07) 부동산 호재가 아파트 매매가에 얼마나 영향을 끼칠까? 라는 궁금증에서 친구들과 시작하게 되었다. 우선 데이터 수집처부터 확인했다. 1. 공공데이터 수집 공공데이터를 통해서 아파트 매매 실거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었다.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API 활용 신청하고 데이터 수집을 진행했다. 공공데이터 활용 신청의 경우 신청한 후 거의 바로 ServiceKey가 발급되는데, 실제로 API를 연결해서 사용하려면 1~2시간 정도의 대기 시간이 필요했다. 이후 내가 확인하고 싶은 지역의 법정동 코드를 알아야한다. 법정동 코드는 https://www.code.go.kr/stdcode/regCodeL.do에서 확인할 수 있다. 서비스 키 발급과 법정동 코드를 알면 아래의 코드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. im.. 2020. 3. 7. [Python]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(networkx+bokeh) 재작년 즈음에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한 적이 있었다. 대학원 시절에는 주로 gephi를 사용했는데, 가장 큰 단점이 일일이 만져줘야하는 시간이 너무나 많이 걸린다는 것이다. 그래서 과감하게 NetworkX를 사용해서 시각화하고 이것을 Bokeh를 통해서 interactive하게 만들어보기로 했었다.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그 당시에는 NetworkX와 Bokeh 모두 관련 정보가 없어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다. (사실 내가 빠르게 해보고 싶어서 서두르다 보니 더 잘 안된 것도 큰 이유라 생각한다.) 2년전 코드로 정리할 예정이기 때문에 상당히 난잡하고, 비효율적이다...(늘 그렇듯) 1) networkx를 통한 그래프 그리기 우선 노드와 노드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Edge list를 만들어야 한다... 2020. 3. 4. [자취방 가죽공예] 혼자하는 가죽공예 - 있으면 좋은 공구 편 이전 글에선 꼭 필요한 공구들을 소개했는데 이번에는 있으면 좋은 공구를 소개할려고한다. 1. 핸드 프레스 이전에 잠깐 소개했던 핸드프레스이다. 가장 큰 장점은 역시 소음 없이 그리프질을 할 수 있는 것이다. 단점은 가죽이 클 경우 핸드 프레스 안에 다 들어가지 않아 사용하기에 많이 불편하다. 또한, 그늘지게 되니까 라인을 맞추기 어려워 삐뚤어지는 경우가 간혹 있다. 소음이 없다는 것은 큰 장점이지만 라인 맞추기나 가죽 크기에 따라 불편한 경우가 있어 반드시 필요한 도구는 아니라 생각했다. 오히려 마름 송곳의 효율이 더 좋은 것 같다. 2. 포니 포니는 스티치 할 때 가죽을 고정시켜주는 도구이다. 포니는 대형 사이즈와 소형 사이즈가 있는데 크기만큼이나 가격차이가 크다. 공방을 다닐 때에는 대형 사이즈를 써.. 2020. 3. 3. 이전 1 ···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